봄의 마지막 절기인 곡우 시절이다. 올해는 이날 비가 내려서 차(茶)가 풍년이겠다. 곡우를 전후로 첫물 녹차를 수확하는 때이다. 차의 역사는 4500여 년 전 신농 때부터라고 할 수 있다. 신농은 중국의 삼황오제 시절의 산둥성 곡부에서 나라를 세운 제왕으로서 1981년 중국에서 출간된 중국차엽 역사자료선집, 신의록에 보면 신농이 하루에 100여 종의 풀을 맛보고 하루에 70번 중독되었을 때 차로 그 독을 풀었다는 기록이 나온다. 이것을 보면 찻잎은 처음에는 약으로 활용했음을 알 수 있다. 신농은 차의 신, 농사의 신으로 추앙을 받게 되고 차가 신농으로부터 시작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기록은 당나라 때의 육우가 지은 다경에도 나왔으며 다경에서 차의 고언에는 신농의 식경을 인용하자면 ‘차를 오래 먹으면 사람으로 하여금 힘이 있게 하고 뜻을 즐겁게 한다’ 또 ‘차는 신농씨로부터 일어나서 노나라의 주공 때에 이르러 이름이 났다’해 차는 약으로 시작해서 요리로 발달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기원전 250년 한나라 시절에 정리된 역아라는 책에는 ‘차나무는 작고 잎은 치자를 닮았는데 그것을 끓여 국물로 마신다’고 했고, 이보다 약간 앞선 안자춘추에서는 ‘제나라 경공이 정승 벼슬에 있을 때 조밥과 차나물을 먹었다’고 했다. 이것은 찻잎이 약에서 요리의 재료로 사용되기 시작한 최초의 문헌이기도 하다.

 

또 중국의 시상반나의 소수민족들은 생찻잎에 고춧가루, 소금 등을 넣어 겉절이를 만들어 먹으면서 전통적으로 량반차라고 부르며 또 다른 소수민족들은 차에다 땅콩 등 갖은 곡식을 넣어 끓여 먹었다. 이 요리 이름을 뇌차라고 한다. 현대에 와서 자동차가 움직임이라면 마시는 차는 고요한 무위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자동차가 여러 종류가 있듯이 마시는 차 역시 만드는 방법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곡우를 전후해서 따는 찻잎을 우전이라고 하는데 가장 맛이 좋다.

 

차가 몸안에 들어와서 한 바퀴 인체를 순환하는 데 대략 50분 정도가 걸린다고 한다. 그렇게 해야 마음의 평정을 찾는 선의 세계를 볼 수 있다고 한다. 이런 차를 마시면 명상에 들게 하며 들뜬 기운을 없애주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며 노화를 방지하고 이뇨작용을 돕고 피로를 회복시켜준다. 또 여성들의 피부를 탄력있게 하여 아름다움을 유지해 준다.

 

 

 

약선요리 녹차와 차나물

 


■녹차와 차나물

▲만드는 법- 차를 우려낸 후 남은 것을 가지고 참기름, 고춧가루, 소금을 가지고 무친다.

 

 

출처 : 세계한식문화관광협회장

 

 

 

 

혈액순환

심장에서 나온 혈액이 동맥, 모세 혈관, 정맥을 거쳐 다시 심장으로 돌아오는 것을 혈액 순환이라고 한다.
• 혈액의 순환 경로는 심장의 우심실에서 출발하는 폐순환과 좌심실에서 출발하는 체순환으로 구분된다.
• 혈액은 폐순환과 체순환(온몸 순환)을 교대로 반복하며 끊임없이 순환한다.

혈액이 혈관 속으로만 흐르는 폐쇄혈관계와 모세혈관이 없어 혈액이 조직 속을 흘러 체강액과의 구별이 명확하지 않은 개방혈관계로 나뉜다. 환형동물·척추동물 등은 전자에 속하고, 절지동물·연체동물은 후자에 속한다. 또한 척추동물에서는 아가미 호흡형과 폐호흡형과의 순환계로 나누어지고, 후자에는 폐순환(소순환)과 체순환(대순환)의 두 경로가 있다. 혈액순환의 원동력은 심장의 수축운동에 있으며, 순환하는 혈액은 가스교환(호흡)에 의한 산소나 이산화탄소 외에, 영양·노폐물 등을 운반하는 일을 한다.
 
척추동물의 혈액순환계는 진화적으로 변화했다. 즉, 어류의 심장은 1심방 1심실로 전신의 모세혈관으로부터 심장으로 되돌아온 혈액은 그대로 심방·심실을 거쳐 한 가닥의 동맥에 의하여 아가미에 이르고, 아가미에서 더러워진 혈액이 깨끗한 혈액으로 바뀌어 전신으로 보내어진다.

 

 

노화방지

노화란 나이가 들면서 신체의 구조와 기능이 점진적으로 저하되고 질병과 사망에 대한 감수성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쇠약해지는 과정이다. 노화에 관한 이론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우리 몸 안의 어딘가에 생체 시계가 있고 사람마다 미리 정해진 시간표에 따라 태어나서부터 죽을 때까지 신체의 성장 및 발달과 노화 과정이 조절되어 노화가 진행된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살아가면서 외부 또는 주위 환경의 영향에 의해 세포나 신체 기관이 마모되면서 손상을 입어 몸이 점진적으로 제 기능을 잃어 가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노화 방지 및 장수와 관련하여 가장 잘 알려져 있는 것이 열량 제한(caloric restriction) 방법이다. 한마디로 식사량을 줄여 적게 먹는다는 뜻의 열량 제한은 소식(小食)하는 사람이 건강하게 오래 산다고 하는 경험과 일치하는 것이다. 이제까지 연구된 거의 모든 종류의 동물에서 이 방법으로 수명을 연장시키는 데 성공했다. 예를 들면 보통의 쥐보다 30∼40% 적게 먹은 쥐가 훨씬 더 오래 산다. 하지만 어떤 이유로 열량 제한이 수명을 연장시키는지 그 근본 이유는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중요한 사실은 적게 먹는 동물은 질병의 발생이 현저히 줄어든다는 점이다. 그러나 아직 열량 제한이 사람에서도 같은 효과를 나타낼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다만 열량 제한의 연구를 통해 얻고자 하는 것은 그 기전을 밝힘으로써 고령에서 질병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지연시키고 건강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알 수 있기를 바라는 것이다.

단순하게 말한다면 노화란 나이가 들어 생기는 변화라고 말할 수 있다. 나이를 먹고 노인이 되는 것을 반가워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불로초는 아닐 지라도 노화를 방지할 수 있는 비밀을 찾기 위해 많은 학자들이 연구하고 있다. 사람의 힘으로 시간이 흐르는 것을 막을 수는 없지만 개인의 노력과 의학의 발전으로 나이가 들어서도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는 길이 그리 멀지만은 않다고 하겠다.

 

 

 

 

 

 

블로그 이미지

#WWG1WG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