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랜차이즈'에 해당되는 글 55건

예년에 비해 추위를 많이 느끼게 되면 내가 허해져서 추위를 느끼는가 싶어 보양을 생각하게 된다.

 

보양이란 첫째 적당해서 딱 좋을 만큼을 말한다. 이것은 너무 넘어서도 너무 못 미쳐서도 안 된다는 뜻이다. 만약에 너무 신중하게 되면 보양에 정도를 잃어 어찌할 바를 모르게 된다. 예를 들자면 조금 많이 일했다고 기를 소모하고 신장을 상할까 걱정하고, 기름지고 느끼하고 단것을 먹는 것을 무서워해서 밥을 줄이고 하는데 이런 상황은 너무 보양을 지나치게 해 제약을 받아 생기는 현상이다. 이것은 건강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장수도 할 수 없다고 한다.

 

둘째 한쪽으로 치우치면 안 된다. 종합적으로 보양해서 딱 적당해야 한다. 어떤 사람들은 보양을 한다는 보를 단순히 길러주는 양으로만 생각한다. 그래서 음식방면에 영양이나 칼로리, 비타민 등을 강조하게 된다. 먹는 것에 대한 진정한 보양을 강조하고, 거주는 안락함을 강조하고, 심신은 안정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 밖에 약물을 복용하는 것으로 보조역할을 해야 한다. 비록 먹는 것으로 보양하거나, 약을 이용해 보양하거나, 정양을 하는 것 모두가 양생 범위 안에 있다. 그러나 너무 지나치면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양을 너무해서 영양과잉이 오거나, 너무 정양한 나머지, 안정만 취하고 움직이지 않으면, 동과 정의 불균형을 이루게 되고, 약으로 보양하는 것을 너무하면, 음양이 너무 성하거나, 너무 쇠퇴하게 되어, 인체의 신진대사에 균형이 깨져서 원하는 효과는 얻지 못하고 더 나빠지게 된다. 그러므로 보양을 할 때는 동정을 같이 합하고, 내 몸의 부족한 것은 보충하고, 남는 것은 하제를 써서 병을 고침으로써 몸과 정신을 공통으로 보양하는 방법을 써야 한다.

 

찬바람이 불면 따뜻한 국물요리 중 홍합이 생각난다. 홍합은 자산어보에서는 담채라고 부르며 동해부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암컷이 살이 붉고 맛이 있어 우대를 받으며 수컷은 살이 희고 맛이 암컷만 못하다.

 

 

약선요리 홍합죽

 

 

◆효능= 겨울에 추위 때문에 여성의 혈액순환이 잘되지 않는 것을 예방하며 아침에 일어나면 몸이 잘 붓거나 얼굴에 반점이 생기는 것을 예방해 준다.

 

◆재료= 홍합 300g. 쌀 120g, 복령 15g, 율무 30g, 생밤 2개, 파, 생강, 올리브유, 소금, 술

 

◆만드는 방법

1. 홍합을 깨끗이 씻어 준비하고 쌀과 율무는 불려 준비한다.

2. 팬에 올리브유를 두르고 파, 생강, 술을 넣고 홍합을 볶다가 재료를 전부 넣어 끓인다.

 

 

(세계한식문화관광협회장)

 

 

 

 

 

홍합

홍합은 난생형으로서 산란기인 봄에 산란한 알을 해수 중에서 수정한 다음, 발생하여 3∼4주일간 부유생활을 하고 곧 부착생활로 들어간다. 부착은 수심이 얕은 곳에 있는 암초 등에 부착하지만, 성장에 따라 점차 깊은 곳으로 이동해 간다.

홍합은 우리 국민들이 즐겨 먹는 식품의 하나이며, 이것을 삶아 말린 것을 담채(淡菜)라고 하여 한말에 중국 대륙으로 수출하기도 하였다.

 

홍합은 자연산을 이용하고 있었으나, 광복 이후에 남해안의 일부 지역에서 바닥양식을 하기 시작하여 최근에는 양식고가 연간 약 5,000t에 달하고 있다. 주로 건제품 형태로서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일부는 날것으로 조리용으로 이용하는 것도 있다.

일반적으로는 진주담치도 홍합이라 통칭되고 있다. 그러나 진주담치는 형태에 다소 변이가 있는 편으로 장란형이고, 각정 쪽으로 가면서 좁고 뒤쪽으로 가면서 넓어진다.

 

조가비의 겉면은 흑색이나 때로는 갈색으로서 광택이 있고 성장선은 작으나 확실하며, 조가비의 안쪽은 청백색이고, 조가비는 홍합보다 다소 얇은 편이다. 크기는 각장 50㎜, 각고 90㎜, 각폭 35㎜가 되는 중형 종이다.

분포는 원래 한해성(寒海性) 종류로서 193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우리나라 동해안의 북부에 분포하고 있었다. 그러나 강한 번식력과 해상 수송수단의 발달과 더불어 분포수역이 확대되어 현재는 우리나라 전연안에 분포하고 있다.

서식장은 해수비중이 다소 낮은 저함수역으로서 천해성이기 때문에 내만이나 연안의 얕은 곳에 많이 살지만, 외해의 영향을 많이 받는 곳에서도 볼 수 있다.

 

서식 수심은 조간대로부터 수심 10m 되는 곳까지이나, 자연산은 간조선을 중심으로 하여 비교적 얕은 수층에 많고, 양식하는 것은 주로 1∼5m 수층이다. 진주담치는 난생형으로서 산란기인 봄에 산란한 알은 해수 중에서 수정한 다음, 발생하여 3∼4주일간 부유생활을 하고 곧 부착생활로 들어간다. 진주담치는 1958년경부터 굴 수하식 양식의 수하연(垂下連)에 부착해서 번식하게 되었고, 이 때에는 굴의 해적생물(害敵生物)로 취급되었다.

 

그러나 그 뒤 생산량이 많아지면서부터 식용으로도 이용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수하식 양식이 개발되어 양식한 진주담치는 수출도 하게 되어 지금은 수출용 통조림 원료로서 아주 중요한 양식종이 되었다. 연간 양식고는 약 3만 7,000t이나 되어 수산동물의 양식 중에서 굴 다음 가는 주요 양식 종이다.

 

 

율무
벼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식물. 원산지는 동남아시아 또는 중국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1078년에 송나라에서 들어온 기록이 있다. 꽃은 7월에 피며 열매는 식용한다. 한방에서는 의이인이라고 하며 약으로도 쓴다.

우리나라에는 1078년(문종 32)에 송나라에서 들어온 기록이 있으며, 임진왜란 때 가토(加藤淸正)가 우리나라로부터 일본으로 가져갔다는 일본의 기록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일찍부터 재배되었고, 조선 중기에는 많이 재배되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재배기술은 육묘재배와 직파재배가 있는데, 육묘재배는 생육일수가 짧은 중부 이북지방에서 실시된다. 4월 중순에서 하순경, 묘상에 10㎝ 사이로 줄뿌림하고 5㎝ 간격으로 한 포기씩 육묘한다. 육묘일수는 25∼30일이며 잎이 4·5매 된 것을 5월 상순에서 중순에 걸쳐 본포에 정식한다.

거름은 10a당 두엄 1,000㎏, 인산 10㎏, 칼리 10㎏을 밑거름으로 하고 재식거리 60×30㎝ 사이에 두 포기씩 심는다.

직파재배는 4월 하순∼5월 상순에 60×10∼20㎝의 재식밀도로 점파하거나 줄뿌림한다. 출수 직전과 2주 후에 덧거름을 주고 메마른 곳은 질소를, 개간지는 인산을 더 준다. 수확은 9∼11월 열매가 흑갈색을 띠게 될 때 한다.

과거에는 곡물로 이용되었으며, 죽으로 많이 먹었다. 최근 성인병에 대한 효과 및 강장효과가 주목되어 율무차 등 가공식품으로 이용되고 있다.

한방에서는 의이인(薏苡仁)이라고 하며 약으로도 쓴다. 건비(健脾)·보폐(補肺)·청열(淸熱)·이수(利水) 작용이 있어 설사·전신부종·근육경련·굴신불리(屈伸不利)·각기 등의 증상에 유효하다. 잎과 뿌리도 약으로 쓴다.

 

 


밤나무의 열매. 단백질, 탄수화물, 기타지방, 비타민 A.B.C, 칼슘등이 풍부하여 발육과 성장에 좋다. 밤은 지름 2.5~4cm로서 짙은 갈색으로 익는다. 밤은 날로먹기도 하며 각종 요리 재료로 많이 활동된다. 한국에서 재배하는 품종은 재래종 가운데 우량종과 일본밤을 개량한 품종으로 주로 중, 남부지방에서 8월 하순부터 10월 중순에 수확, 생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재배하는 밤은 대부분 일본에서 도입된 품종으로 비교적 냉해에 약하기 때문에 주산지가 대부분 남부지방에 편재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밤 주산지는 경남 전남의 광양, 보성, 순천, 하동, 함양, 산청, 진주, 구례, 전주, 남원, 장수, 충남의 공주, 부여, 청양 등지로서 전체 생산량 중 60% 이상이 이 지역에서 생산된다.

블로그 이미지

#WWG1WG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