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아주는 지역에 따라 ‘돼지가 잘 먹는 가라지’라는 의미를 가진 ‘도트라지’ 또는 ‘도투라지’로 불리는 명아주가 화제인 가운데 명아주의 효능이 누리꾼들 사이에서 새삼 주목받고있다.

 

청려장(靑藜杖)을 하사한 전통이 내려와서 조선시대에는 나이 70세와 80세를 맞는 노인에게 각각 국장(國杖)과 조장(朝杖)이라 하여 하사하였다고 전해진다. 지금도 청려장은 문경시 호계면 일대에서 지역특산물로 만들어지고 있는데 울퉁불퉁한 표면이 손바닥을 자극하는 효과와 함께 재질이 단단하고 가벼운 장점이 있다.대표적인 청려장으로는 안동 도산서원에 퇴계 이황 선생이 짚고 다니던 길이 140cm의 청려장이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명아주의 약효로는 해열작용, 진통작용, 소염작용, 지사작용 및 광(光)과민작용이 있다. 

조선후기 농서인 <농정회요>에서도 ‘독이 약간 있어서 벌레를 죽이며 달이거나 찧어서 벌레 물린 상처를 씻기도 하고 벌레먹은 이(충치)에 양치질하기도 한다.’고 전해지며 명아주 태운 재를 동회(冬灰) 라 하여 사마귀 치료에 외용하거나 충치에 외용하기도 한다. 생즙을 외용하면 가려움증을 개선하여 두드러기에 바르면 효과가 있다.

 

어린이의 두피가 헌데에 씨를 볶아서 가루로 만들어 참기름에 개어 바르면 효과가 있다고 하며 민간에서 다수 이용되고 또한 이와 관련된 특허가 다수 있지만 봄나물이 아닌 초여름 이후에 채취한 명아주의 추출물을 과량복용하거나 외용하면 명아주의 일광과민반응에 의해서 햇볕을 쬐면 광과민 반응에 의해 피부가 붉어지거나 부풀어 오를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명아주는 잡초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이 잡초가 오히려 땅심을 높이고 비료사용을 줄이는 녹비작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병충해를 예방하는 데에도 효과적이어서 명아주를 알콜로 추출한 추출물은 진딧물류, 응애류, 나방류 및 멸구류를 방제하는 효능을 가진다. 특히 벼농사에 있어서는 벼멸구, 도열병을 방제하는 친환경농약으로 이용할 수 있다. 부위로서는 전초 모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명아주는 초여름에 어린잎을 채취하여 살짝 데쳐 묵나물로 만들었다가 볶아서 먹기도 하며 된장을 넣고 국을 끓여 먹기도 하고 데쳐서 된장에 버물여 나물로 먹기도 한다. 또한 장아찌를 담가먹기도 한다.

 

명아주는 화학비료나 제초제 같은 인공적인 부영양 물질보다는 자연적 부영양화로 비옥한 땅을 가장 좋아한다. 농촌 거름더미가 쌓인 언저리가 최적 서식처다. 생태적으로 질소 땅을 지표하는 호질소성 식물로 분류되고, 식물사회학적으로 인간을 따라다니며 사는 터주식물군(ruderal plants)으로 분류된다. 중부유럽에서도 터주식물사회를 대표하는 별꽃군강(Stellarietea mediae; Syn. Chenopodietea, 명아주군강)이란 식물사회의 표징종이다.

 

약간 건조한 밭이면서 퇴비 성분이 풍부한 곳에서는 큰 군락을 만든다. 질소고정박테리아와 공생하는 콩 재배 밭의 언저리는 명아주가 좋아하는 서식처다. 잎이 넓은(廣葉型, 광엽형) 초본인 명아주가 콩 밭에서 잡초로 섞여 자라고 있으면, 눈에 잘 띄지 않는다. 부영양 토양 조건만 잘 유지되면 성장 속도가 빨라서 사람 키를 훌쩍 넘어 무려 2, 3m로 쑥 자란다. 가벼운 줄기 대가 되는 것이다.

 

이른 봄에 싹이 나서 늦은 가을에 고사하는 전형적인 하계형 한해살이풀(summer annual)이다. 겨울이 오기 전에 식물체 전체가 다 말라 죽으며, 늦여름에서 가을쯤에 딱딱하게 목질화 된 명아주 줄기를 채취해 곁가지를 제거하고, 그늘에 말리면 훌륭한 지팡이가 된다. 약간의 손질과 가공과정을 거치면, 기념품 같은 지팡이를 만들수 있다.

 

명아주는 전형적인 단일(短日) 식물로 수분스트레스가 발생할 수 있는 건조한 입지에서도 잘 산다. 한여름 작열하는 햇볕과 지면의 뜨거운 복사열 때문에 발생하는 수분스트레스로 보통 식물들은 말라 죽는다. 땅속에 아무리 풍부한 물이 저장되어 있어도,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받아들이기 위해서 기공을 열기라도 하면, 잎 세포 속의 수분을 모두 빼앗겨 버리기 때문이다.

블로그 이미지

#WWG1WG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