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에 해당되는 글 56건

오늘은 동지 입기일이다. 옛날부터 동짓날 날씨가 온화하면 다음 해에 질병이 많아 사람들이 많이 죽는다고 여겼으며 눈이 많이 오고 날씨가 추우면 풍년이 들 것이라 믿었다. 24절기의 22번째 절기 태양황경이 270도일 때이다, 겨울 동(冬)과 이를 지(至) 자를 써서 겨울에 다다르다. 즉 겨울철의 추위가 곧 몰아치다라는 뜻으로 동지라 했다.

 

동지는 아주 중요한 절기로서 하지와 같은 원리로 음양이 전환하는 시점이다.

 

이때는 음이 극에 달하고 양을 생성하기 시작하는데, 소문·맥요정미론(素問·脈要精微論)에서 동지45일 양기미상 음기미하(冬至四十五日, 陽氣微上, 陰氣微下)라고 해 이날부터 입춘까지의 45일 동안 양기는 점차적으로 강해지고 음기는 점차적으로 약해지며 낮의 길이는 점차적으로 늘어나며 밤의 길이는 점차적으로 줄어든다.

 

이것은 동양의 태음태양력법에서 역의 기산점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녔던 동지는 일년 중 해가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길며 남반구에서는 그 반대이다.

 

그러나 이로부터 태양은 하루하루 북으로 올라오는데 옛날에는 이를 태양이 복원한다 하여 동짓날을 축일로 삼았으며 특히 태양신을 숭상하던 페르시아의 미드라교에서는 동지를 태양탄생일로 정해서 태양의 부활을 축하했는데 크리스마스도 4세기 후반 로마에서 성행했던 이 미드라교의 동지제에서 연유한 것이라고 한다.

 

옛날은 동지를 다음 해가 되는 날 또는 작은설이라 해서 크게 축하해 궁중에서는 원단(元旦)과 동지를 같이 으뜸이 되는 경축일로 생각하고 군신과 황세자가 모여 잔치를 하는 회례연(會禮宴)이 베풀어졌다. 또 붉은 팥으로 죽을 쑤어 그 속에 찹쌀로 옹서래미라는 단환자를 만들어 넣어 먹었다. 이 옹서래미의 맛을 좋게 하기 위해 꿀에 재어 먹기도 하고 시절 음식으로 삼아 제사에 쓰기도 한다.  그리고 또 역귀를 쫓는다 하여 팥죽 국물을 벽이나 문짝에 뿌렸다.

 

 

약선요리 동지양생팥죽

 

 

◆효능= 소화기관을 튼튼하게 하고 인체의 물이 잘 흐르게 한다.

 

◆재료= 붉은팥 100g, 찹쌀옹심 50g, 쌀 100g, 소금 약간

 

◆만드는 법

1.팥을 푹 삶아서 거르고, 찹쌀가루를 익반죽해 새알 모양의 단자를 만들고, 쌀은 불려서 준비한다.

2.거른 팥과 쌀을 넣고 끓이다 앙금을 넣고 저어가면서 끓이다가 옹심을 넣고 떠오르면 소금을 넣고 완성한다.

 

출처 : 세계한식문화관광협회장

 

 

 

 


소두(小豆)·적소두(赤小豆)라고도 한다. 팥의 원종(原種)에 대하여는 분명하지 않으나 원산지는 중국 일대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동양에서 오래 전부터 재배한 작물이다. 한국에는 중국에서 들어온 것으로 생각되며 재배한 역사도 오래된 작물이다.

줄기는 콩보다 다소 가늘고 긴데 덩굴이 벋는 경향이 있으며 쓰러지기 쉽다. 높이는 보통 50∼90cm인 것이 많고 줄기는 녹색이나 붉은빛을 띤 자주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3개의 작은잎으로 된 겹잎이며, 긴 잎자루의 밑부분에 작은 턱잎이 있다. 작은잎은 달걀 모양 또는 마름모꼴 달걀 모양이다.

 

여름에 잎겨드랑이에서 긴 꽃자루가 나와 4∼6개의 노란색 접형화(蝶形花)가 달린다. 꼬투리는 길이 10cm 정도의 가늘고 긴 원통형이며 털이 없다. 성숙하면 연한 노란색, 연한 갈색, 검은 갈색으로 되며 속에 3∼10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길이 4∼8mm, 나비 3∼7mm의 원통형이고 양끝은 둥글다. 색깔은 이른바 팥색, 그 밖에 흰색, 연한 노란색, 검은색, 연한녹색, 검은색 무늬가 있는 것 등이 있다.

 

팥은 줄기가 곧게 서는 보통팥과 덩굴성인 덩굴팥으로 구별되는데, 생태적 특성에 따라 여름팥과 가을팥, 씨껍질의 색깔에 따라 붉은팥·검정팥·푸른팥·얼룩팥 등으로 구별한다.

 

팥의 품종은 정리되어 있지 않고 재래품종이 재배되고 있으며 홍천적두(洪川赤豆)가 대립(大粒)·조숙·다수(多收)로서 가장 우수하며, 이 밖에 조숙종인 진천적두(鎭川赤豆), 만숙종인 영동적두·문의적두 등이 우량시되고 있다. 팥에는 녹말 등의 탄수화물이 약 50% 함유되어 있으며, 그 밖에 단백질이 약 20% 함유되어 있다. 씨껍질의 색소는 안토시안이므로 알칼리나 철냄비에 끓이면 검은색을 띠고, 산이나 공기에 접촉하면 붉은색을 띤다. 재배는 콩과 비슷하며, 저온·다습에 약하나 생육기간이 짧으므로 고랭지에서도 적당하며, 다른 작물의 앞·뒷그루의 짧은 기간을 이용해서 재배할 수도 있다. 이어짓기는 좋지 않으므로 돌려짓기를 해야 한다.

 

 

 

 

소화기관

음식물의 소화와 흡수를 담당하며, 구강에서 식도, 위, 소장, 대장을 거쳐 항문까지 이루어진 신체기관

소화기계는 전반적으로 점막, 점막하층, 근육, 장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에 동정맥과 림프, 신경이 분포한다. 소화운동, 소화액분비 및 흡수의 기능을 통해 섭취된 음식물을 흡수 가능한 인자로 만들어 신체 내부로 이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사람의 소화 기관에는 입, 식도, 위, 십이지장, 작은창자(소장), 큰창자(대장), 이자, 쓸개, 간 등이 있다. 우리가 먹은 음식물은 ‘입 → 식도 → 위 → 십이지장 → 작은창자 → 큰창자’ 순으로 지난다. 음식물은 소화 기관을 지나며 잘게 부서지고, 잘게 부서진 영양소는 작은창자에서 흡수되며, 큰창자에서는 주로 물을 흡수한다. 작은창자의 융털에서 흡수된 영양소 중 일부는 간에서 양분으로 저장되며, 나머지는 혈액을 통해 온몸으로 운반되어 몸의 각 부분에 전달된다. 음식물이 지나가는 통로 외에도 침샘, 간, 쓸개, 이자 등은 소화액을 분비, 저장하여 소화 작용에 참여한다.

 

 

 

팥죽

팥죽은 팥을 삶아 으깨어 거른 물에 쌀을 넣고 쑨 죽이다. 한자로는 두탕(豆湯) 또는 두탕적두(豆湯赤豆)라고 한다. 고려 말에 『형초세시기』가 전해지면서 동지 때 팥죽 먹는 풍속이 생겼다. 조선시대 후기가 되면 동지 때 팥죽을 쑤어 사당에 올리고, 집안의 가정신이 머무는 곳에 두었다. 이와 동시에 팥죽을 대문에 뿌리기도 했다. 심지어 가정신이 머무는 곳에 뿌리는 풍속도 생겨났다. 1970년대까지도 동지 때 팥죽을 먹고 가정신이 머무는 곳에 팥죽을 두거나 뿌리는 풍속은 지방에 따라 지속되었다. 그러나 도시화와 주택의 변화로 인해 1990년대 이후에 이러한 풍속을 보기는 어렵다.

 

중국 창장(長江) 강 중류 유역 형초(荊楚) 지역의 7세기경 연중세시기인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서 음력 동지에 팥죽을 쑤어 역귀(疫鬼)를 물리쳤다는 데서 유래한 풍속이다. 『형초세시기』에 따르면 “공공씨(共工氏)에게 바보 아들이 있었는데 그가 동짓날에 죽어서 역질 귀신이 되어 붉은 팥을 무서워하기 때문에 동짓날 붉은 팥죽을 쑤어서 그를 물리친다.”라고 했다. 그러니 당초에는 동지 때 팥죽을 먹는 풍속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현재까지 이에 대해 기록한 알려진 문헌으로는 이색(李穡, 1328~1396)의 『목은시고(牧隱詩藁)』에 나오는 ‘팥죽[豆粥]’이란 시가 가장 앞선다.

블로그 이미지

#WWG1WG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