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음식'에 해당되는 글 56건

한 해가 저무는 연말이다. 예부터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영역이 생존하려면 변화를 읽고 변화에 적응해야 한다고 한다. 무조건 이기려는 쪽으로 발달한 근육을 부드럽게 순응하는 쪽으로 정신을 적응시켜야 한다. 변화를 따라가는 것은 고단한 일이지만 살기 위해 변화와 물결을 따라가야 한다.

 

다윈이 자연의 진화현상에서 주장한 핵심의 하나가 환경 적응이다. 살아남은 종(種)은 강한 종이 아니라 자연에 적응한 종이라고 한다.

환경에 적응해야 생존하는 것은 생물체뿐만이 아니다. 사람이 무병장수를 위해 인체의 변화를 따라가는 것은 고단한 일이지만 100세의 건강한 삶을 위해선 변해야 한다.

 

조선 중기에 영의정을 지낸 신흠(1566~1628)이 춘천에 유배됐을 때 제석(除夕)이란 시에서 ‘협리금소우송년(峽裏今宵又送年)’이라고 했다.

깊은 골짜기 속에서 ‘오늘 밤 또 한 해를 보내누나’하고 한 해를 보낸다는 의미로 송년(送年)이란 말을 썼지만 송년회(送年會)라는 용례는 우리 역사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송년회의 의미를 갖는 모임으로는 연종회(年終會)가 있다. 조선 후기 순조 때 박사호(朴思浩)의 심전고(心田稿)에서 ‘무자년(1828) 12월 30일 새벽에 보화전(保和殿)에서 열린 연종연(年終宴)에 나갔다’는 기록이 있다. 이것은 중국에서도 하고 있던 연회이다. 조선도 연종제를 행했지만 날짜는 중국과 달라 동지부터 세 번째 미일(未日)에 했다.

 

이수광의 지봉유설(芝峰類說)에는 후한 말기 채옹(蔡邕)의 설을 인용해 남쪽을 뜻하는 적제(赤帝)는 술일(戌日), 서쪽인 백제(白帝)는 축일(丑日), 북쪽 흑제(黑帝)는 진일(辰日), 동쪽인 청제(靑帝)는 미일(未日)에 납향(臘享)한다고 한다.

 

조선도 태조 이후부터 납일을 미일로 한 것은 동방이 음양오행 중 목(木)에 속하기 때문에 이때 연종회인 세모(歲暮)를 했다. 세모에는 예나 지금이나 자의든 타의든 술, 고기 등을 많이 마시고 먹게 된다. 이때 아침에 먹는 것 중의 하나가 갈화죽을 꼽을 수 있다. 갈화는 칡의 꽃을 따서 말린 것이다. 동의보감에는 맛은 달고 평하며 비장과 위장으로 들어가고 술의 독을 제거한다.

 

 

약선요리 갈화죽

 

 

▲효능= 위장에 남아 있는 술의 뜨거운 열기와 풍을 제거해 아침에 속이 메스껍거나 구토가 나며 가슴이 답답하고 목마름을 예방하는 데 좋다.

 

▲재료= 갈화 5g, 쌀 50g, 소금 조금.

 

▲만드는 법= 쌀로 죽을 끓이고 갈화를 갈아서 마지막에 넣어서 먹으면 된다.

 

 

출처 : 세계한식문화관광협회장

 

 

 

 

갈화

딴 이름은 갈조화(葛條花)이다. 콩과 식물인 칡 Pueraria lobata Ohwi. 또는 P. thunbergiana Bentham · P. hirsuta Matsum.의 꽃을 말린 것이다. 칡은 각지의 산에서 널리 자란다. 늦여름이나 초가을 꽃이 피기 시작할 때 뜯어서 햇볕에 말린다. 맛은 달고 성질은 서늘하다. 위경(胃經)에 작용한다. 알콜 중독증을 없애고 갈증을 가시게 하며 비위(脾胃)를 튼튼하게 한다. 갈증이 나는 데, 식욕이 부진하고 소화가 안 되는 데 등에 쓴다. 하루 3~6g을 탕제 · 산제 · 환제 형태로 만들어 먹는다.

칡의 뿌리를 갈근이라고 하는데, 갈씨(葛氏) 집안의 뿌리 즉 근원(根)이라는 뜻으로 갈씨 성을 가진 소년을 구해준 이야기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갈화는 칡의 꽃을 의미한다.

이 약은 풀 냄새가 조금 있고 약성은 달다.[甘]

과음으로 인한 두통, 발열 및 가슴 속이 답답하고 편안치 않아서 팔다리를 가만히 두지 못하는 증상, 갈증, 식욕부진, 복부팽만, 구토증을 다스린다.

갈화는 완전히 개화하지 않은 봉오리를 사용하며 색깔은 엷은 남자색(藍紫色)을 띠고 꽃대나 그밖의 이물이 없는 것이 좋다.

갈화는 갈조화(葛條花)라고도 한다. 칡잎은 갈엽(葛葉)이라 하여 외상의 지혈에 쓰고 칡줄기는 갈만(葛蔓)이라 하여 종기와 인후염에 태워서 가루를 내어 외용하거나 내복한다.

 

 

벼는 벼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20여 종의 품종이 있으나, 세계적으로 가장 흔하게 재배되고 있는 것은 오리자 사티바(oriza sa톤iva)이다. 이 오리자 사티바는 일본형·인도형·자바형의 3형으로 분류하고 있는데, 자바형은 인도형에 가까우므로 일본형과 인도형의 2형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벼의 원산지는 중국 남부, 미얀마, 타이, 인도 동부 등이라는 설이 있으며, 타이에서는 기원전 4000년에 재배되었다는 설이 있다. 최근 미얀마에서는 기원전 1만 년의 유적에서 재배되었다는 형적이 나타났다고 하며, 일본에는 기원전 1세기경에 중국의 중남부에서 전해왔다고 한다. 우리나라에 들어온 쌀도 역시 일본형이므로 그 무렵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쌀은 벼 열매의 껍질을 벗긴 알갱이로 장립형과 단립형이 있다. 구조는 왕겨·과피·종피·호분층·배유 및 배아로 되어 있고, 종류로는 멥쌀과 찹쌀처럼 아밀로오스의 함량의 차이에 따라서 나누고, 또한 도정(搗精)의 정도에 따라서 현미·5분도미·7분도미·백미 등으로 분류한다. 산지에 따라서는 경기미·호남미·인천쌀 등으로 나누고 가공별로 강화미와 알파미 등으로 분류한다.

멥쌀과 찹쌀은 일본형과 인도형이 모두 메벼와 찰벼가 있으므로 생산이 되는 것이며, 이들 벼의 차이는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 함량의 차이이다. 육안으로 보았을 때에 멥쌀은 반투명하고 찹쌀은 유백색이다.

 

찹쌀은 수분함량이 많으면 반투명해져서 멥쌀과 구별하기 힘들지만 건조하면 유백색이 된다. 찹쌀은 배유세포 내의 전분함량이 낮아서 건조하면 배유 내부에 미세한 간격이 생기므로 유백색을 띠게 된다.

 

 

지봉유설

당시의 학자 남창(南窓) 김현성(金玄成)은 이 책의 제문(題文)에서 "…위로는 천시(天時)를 밝히고 아래로는 인사(人事)를 말함에 의리(義理)의 정미(精微)와 문장의 득실(得失)을 보이며, 곤충초목에 이르기까지 모아 남김이 없고, 파헤쳐 남김이 없어,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총명(聰明)을 계발하게 하고, 지려(智慮)를 진익(進益)하게 하니, 마치 귀머거리에게 세 귀가 생기고 장님에게 네 눈이 얻어짐과 같아 탄복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하여 이 책의 가치를 짐작케 하였다.

 

내용은 권1에 천문(天文)·시령(時令)·재이(災異), 권2에 지리(地理)·제국(諸國), 권3에 군도(君道)·병정(兵政), 권4에 관직(官職), 권5에 유도(儒道)·경서(經書), 권6에 경서, 권7에 경서·문자(文字), 권8∼14는 문장(文章), 권15는 인물·성행(性行)·신형(身形), 권16은 언어(言語), 권17은 인사(人事)·잡사(雜事), 권18은 기예(技藝)·외통(外通), 권19는 궁실(宮室)·복용(服用)·식물(食物), 권20은 훼목(卉木)·금충(禽蟲) 등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총 3,435항목에 이른다.

 

한국 역사 연구에 좋은 참고가 되며, 현재 조선고서간행회본(朝鮮古書刊行會本)과 조선연구회본이 유포되어 있다.

 

 

 

블로그 이미지

#WWG1WGA

,